[GA] 초급 - 1. 애널리틱스 소개

By 주디 - 4월 21, 2019


1. 구글 애널리틱스의 작동방식
웹사이트 페이지에 추가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글 애널리틱스로 전송.


웹사이트 추적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 생성 > 사이트의 각 페이지에 자비스크립트 추적코드 추가
사용자가 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추적코드는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와 상호작용한 방법에 대한 익명정보를 수집.

구글 스토어의 경우, 추적코드는 음료용기 판매 페이지와 가정용품 판매 페이지를 방문한 사용자의 수를 비교하여 보여줄 수 있음. 또는 사용자가 구매확인 페이지를 방문했는지 추적하여 특정 품목을 구매한 사용자의 수를 보여줄 수 있음.

추적코드는 브라우저에 설정되어 있는 언어, 브라우저 유형(Chrome, Safari 등), 
액세스에 사용되는 기기 및 운영체제 등과 같은 브라우저 정보도 수집하며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었던 출처를 알 수 있는 '트래픽 소스'도 수집할 수 있음. (검색엔진, 사용자가 클릭한 광고, 이메일 마케팅 캠페인 등)

 [ 세션 ] 
페이지가 로드될 때마다 추적코드는 사용자 활동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집하고 보냄. ➡ 세션
세션은 사용자가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코드가 포함된 페이지로 이동할 때 시작됨.
30분동안 사용자의 활동이 없으면 세션이 종료됨. 세션 종료 후 사용자가 다시 페이지로 돌아오면 새로운 세션 시작.


처리 및 보고
추적코드는 데이터를 수집할 때 해당 정보를 패키지로 묶어 구글 애널리틱스에 전송하여 보고서로 처리되도록 함.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자가 모바일인지 데스크톱인지 또는 브라우저 유형과 같은 특정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집계하고 구성함.

데이터가 처리되는 방식을 맞춤설정할 수 있는 구성설정도 있음.
데이터에 내부 회사 트래픽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거나, 중요한 특정 국가나 지역의 데이터만 포함되도록 필터 적용 가능.

❗  애널리틱스에서 데이터가 처리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음 
 ➡ 구성을 설정할 때는 나중에 분석해야하는 데이터를 제외하지 않아야 함. 데이터가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로 표시됨.


2.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
계정, 속성, 보기를 설정할 때는 비즈니스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

애널리틱스 계정 구조
1. 구글 계정 생성 후 애널리틱스 가입
2. 웹사이트 / 모바일 앱 추적할 지 설정. 추적할 웹사이트 이름을 먼저 지정하여 속성을 설정할 수 있음.
    웹사이트 URL 추가, 업계 카테고리 선택, (보고서 시간대도 수정 가능)

3. 데이터 공유설정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중요한 시스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설정. 데이터 공유를 관리하는데도 사용됨.
    [ 추적ID 가져오기 ] 클릭(자바스크립트 추적 코드를 웹사이트페이지에 추가)

4. 아래로 스크롤해서 자바스크립트 코드 확인. (추적ID가 포함되어 있음)

5. 코드를 복사하여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HTML에 붙여넣기.
6. 사이트에 코드 추가 후 구글 애널리틱스의 '실시간' 보고서에서 코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
    (실시간 보고서에 현재 사이트에 있는 사용자 수 등 최신 사용자 활동이 표시됨)

추적코드를 다시 찾아야하는 경우
➡ 관리(Admin) > 추적정보(Tracking Info) > 추적코드(Tracking Code)




3. 필터로 보기를 설정하는 방법
보기별로 필터를 사용하여 해당 보기에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음. 다양한 보기를 사용하면 하위 데이터에 집중할 수 있거나, 다른 사용자가 특정 보기에 액세스하도록 권한 부여 가능.

계정보기 필터를 설정하는 방법
< 원시데이터 보기 생성 - Raw Data >
1. 관리(Admin) > 보기(View) > 보기설정(View Setting) 

2. 보기이름 - Raw Data로 설정
처음 속성을 만들면 필터가 설정되지 않은 '모든 웹사이트 데이터' 라는 보기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음.
해당 속성에 대해 대해 수집한 변경되지 않은 원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어 있음.
필터링되지 않은 데이터임을 알아볼 수 있도록 '원시데이터(Raw Data)'로 변경하는 것이 좋음.


< 테스트 보기 생성 - Test View >
'테스트 보기'를 설정해 설정을 테스트.
설정이 잘못되면 수집하려던 데이터가 의도치않게 손실될 수 있기에! 먼저 모든 설정을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음.

1. 왼쪽 상단 [ 보기 만들기 ] 클릭 > 보기이름 - Test View로 설정

2. 알려진 봇 및 스파이더에서 발생한 모든 조회수 제외 설정
속성에 대한 '테스트 보기'가 표시됨. 
자동 크롤러 및 스파이더 트래픽 데이터를 필터링 설정을 추가 후 저장
>>필터링 할 때 크롤러 트래픽이 제외됨.

보기 설정 > 아래로 스크롤 > 봇 필터링 - 알려진 봇 및 스파이더에서 발생한 모든 조회수 제외
(Bot filtering - Exclude all hits from known bots and spiders)


< 마스터 보기 생성 - Master View >
마스터 보기는 보고 및 분석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됨.

테스트 [보기 복사] 후 'Master View'로 이름 변경.
보기를 복사하면 모든 설정과 필터도 새 보기로 복사됨.


< 필터 추가 > 
'테스트' 보기에서 내부 IP 트래픽을 제외할 공통 필터를 설정.
직원 영향 없이 외부 고객에 대해서만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행동을 측정할 수 있음.

1. 보기 선택도구에서 '테스트 보기'로 변경 > [ 필터(Filter) ] 클릭

2. [ 필터추가 ] 클릭

3. 필터 이름, 필터 유형, IP주소 입력
필터 이름 : '내부 트래픽 제외' 
필터 유형 : 사전 정의됨
     - 사전 정의 : 자주 사용하는 필터를 만들때 사용하는 템플릿
     - 맞춤 : 데이터 포함, 제외, 수정 등을 원하는 대로 설계할 수 있는 필터

필터를 저장하고 보기에 적용하면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웹 서비스로 흐르는 트래픽의 IP주소를 확인하여 필터와 일치하는 주소를 제외함.
필터가 모든 트래픽을 포착하는 데 약간의 시간이 소요됨.

필터가 내부 트래픽을 제대로 제외하고 있는지 테스트하려면 보고서 > 실시간 > 개요를 통해 알 수 있음. 
웹사이트에 발생하는 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보고서 표시됨.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30분동안 내부 사용자 트래픽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남.
필터가 적용되면 필터링한 IP 주소로 발생하는 내부활동은 수집되지 않음.


필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 후 마스터보기에 필터 추가
1. 관리 > 보기 선택도구에서 '마스터 보기' 로 변경 > [ 필터(Filter) ] 클릭

2. [기존 필터 적용] 버튼 클릭 > 사용가능 필터에서 필터선택 후 [ 추가 ] > 저장

❗하나의 보기에 여러 필터를 적용할 경우, 필터 설정에 표시되는 순서대로 필터가 적용됨.(적용순서 주의)
필터가 2개인 경우, 첫번째(최상단) 필터를 거친 후, 두번째 필터를 거치게 됨.



평가시험1
1.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추적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고할 있는 시스템은?
(해당 답변 모두 선택)

 전자상거래 플랫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판매 시점 시스템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시스템


2. Google 애널리틱스로 웹사이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완료해야 단계는?
(해당 답변 모두 선택)

 Google 애널리틱스 데스크톱 소프트웨어 설치
 애널리틱스 계정 생성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를 웹페이지에 추가
 애널리틱스 다운로드


3. 다음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로 수집할 있는 것은?
(해당 답변 모두 선택)

 브라우저에 설정된 언어
 브라우저 유형
 사용자의 즐겨찾기 웹사이트
 기기 운영체제


4.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기본적으로 세션을 종료하는 때는?

 웹사이트에서 사용자 활동 여부와 관계없이 30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다른 창을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가 30 이상 아무 활동이 없거나 브라우저 창을 닫을
 매일 정오에


5. 데이터가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처리되고 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변경할 없다.

 
 거짓


6. Google 애널리틱스 계정의 계층구조를 상위에서 하위 순으로 가장 나타낸 것은?

 보기 > 계정 > 속성
 속성 > 계정 > 보기
 계정 > 보기 > 속성
 계정 > 속성 > 보기


7. 계정 수준에서 '수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자동으로 '수정' 권한을 갖게 되는 수준은?
(해당 답변 모두 선택)

 사용자
 속성
 보기
 제품


8. 속성의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를 찾으려고 따라야 작업 순서는?

 관리 > 추적 코드 > 추적 정보
 관리 > 추적 정보 > 추적 코드
 보고서 > 잠재고객 > 추적 코드
 사용자 보고서 > 설정 > 추적 코드


9.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데이터를 수집하려는 경우 웹사이트 페이지 HTML 추가해야 것은?

 Google 캠페인 매개변수
 Google 애널리틱스 이용약관
 Google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
 권한 버튼


10. 데이터를 수집하려는 경우 웹페이지의 HTML에서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를 추가해야 위치는?

 웹사이트의 여는 <head> 태그 바로
 웹사이트의 닫는 </head> 태그 바로
 웹사이트의 여는 <body> 태그 바로
 웹사이트의 닫는 </body> 태그 바로


11. 보기를 만들 경우 포함해야 데이터는?

 보기가 만들어지기 전의 데이터
 보기가 만들어진 후의 데이터
 보기가 만들어지기 전후의 데이터
 포함해야 데이터 없음


12. 계정 관리자가 삭제된 보기를 복구할 있는 기간은?

 35
 65
 95
 125


13.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필터링 옵션은?

 보기에서 데이터 제외
 보기에 데이터 포함
 보고서의 데이터 표시 방식 수정
 모두 정답


14.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필터를 사용할 필터링하지 않은 보기를 하나 갖고 있어야 하는 이유는?

 원래 데이터에 항상 액세스할 있기 위해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여러 보기에 필터를 사용하기 위해
 필터링하지 않은 보기가 있어야 이유 없음


15.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순서는?

 필터 이름별(알파벳 순서)
 필터가 마지막으로 수정된 순서
 필터가 적용된 순서
 무작위 순서


16. 필터가 보기에 적용되면 영향을 받는 데이터는?

 필터가 만들어지기 전의 데이터
 필터가 만들어진 후의 데이터
 보기에서 사용할 있는 모든 데이터
 보기에서 사용할 있는 데이터에 영향 없음



  • Share:

You Might Also Like

0 개의 댓글